◆...30 후반쯤의 젊은 시절 직장산악회에서 신원사-남매탑 구간의 산행시 연천봉고개를
올라서 그만 다리에 맥이 풀리고 통증이 와 일행과 같이 하지 못하고 낙오하는 부끄러운
일이 있었다. 그때 포기한 산행을 만회해 보겠다는 언질을 한송회 정기산행의 유사인 상
좌원에게 귀뜸하여 정기산행 코스로 정하게 한다
산행을 정기적으로 하지 않은 사람은 분명 힘든 코스임에는 분명한데...◆
|
◀... 계룡산은 주봉인
천황봉에서 쌀개봉, 삼불봉
으로 이어진 능선이 흡사
닭벼슬을 한 용의 형상이
라는 데서 생긴 이름이다.
한국의 산하 인기명산 11
위에 있는 충청의 명산으로
풍수전문가들에게 우리나라
에서 내노라 하는 길지 중
한곳을 꼽으라면 대부분이
계룡산을 지목하는데 망설
이지 않는다.
옛부터 도읍의 자리로 항상
거론된 곳이 계룡산 주변이
었음을 보아도 쉬이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조선 건국 때도 그랬고,
박정희 정권 때도 그랬고,
지금의 행정수도 이전지도
바로 계룡산 자락이다.
때문에 계룡산은 무속인들의
수행 터전인 양 알려져 있기
도 하다.
|
▼...신원사 과거에 대웅전 하나 달랑 있었던 기억이 나는데 많이 중창된것이 몰라보겠군
녹음도 욱어지고 운치있는 사찰로 변하였다
  |
▼...신원사 경내에서 산을 올려다 본다 천왕봉 안테나가 가물 가물하게 보인다
▼...연천봉으로 오르는 길에 있는 바위밑의 암자 ▽ 속인이 경계해야할 여섯도둑
▽ 고왕암의 마애불상 厓라고 하기는 뭐하고 마암불 이라해야 겠지



▼...과거에는 땡볕에 사암의 미끄러운 길을 힘들게 올랐는데 지금은
나무도 욱어지고 계단도 잘 만들어 오르기는 쉽다
▼...과연 힘든다 애쓴 보람으로 해발740m 연천봉에 올랐다 기념찰영 한컷 하고...
연천봉은 계룡산중 서쪽에 위치하여 낙조로 유명한데 쾌청날씨에는 아득하게 백마강이
은빛으로 번쩍이며 저녁노을이 불게 물들이는 낙조 모습은 가히 절경이라하여 계룡산
의 제3경으로 자랑한다

▼...연천봉에서 조망 천왕봉의 안테나 군사보호 구역으로 일반사람들은 잘가지 못하는
곳으로 ... ▽ 연천봉 바로아래 핼기장과 문필봉
▼...오른쪽 뽀족봉이 문필봉(756m) 옛날에는 등산로가 있었다는데 지금은 막아 놓았다
사고가 많은가 보다 마지막 큰 봉우리가 관음봉 관음봉 정자지붕이 살짝 보인다
▼...관음봉(816m)은 계룡산의 중앙에 위치한 봉으로 정상에 전망대가 세워져 있다.
계룡산 제4경으로 관음봉 한운이라 하여 이 곳에서 하늘을 떠다니는 구름을 보면 신선
이 된 듯한 기분이라는데 그날은 하늘구름은 보이지 않고 사람구름만 봉우리 표지석에
건방스럽게 뗏똑 올라 앉아 신선놀음 했다

▼...관음봉을 내려서면 자연성능과 삼불봉이 눈에 들어온다
관음봉에서 삼불봉에 이르는 1.8㎞는 자연성릉 구간이다. 자연스런 성곽의 능선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이구간은 겨울산행의 백미라고 까지 이야기 하며 특히 함박눈이
내린 다음날 햇살에 살짝 녹아 얼음이 반짝이는 설경은 일품이라 한다.
▼...관음봉을 내려 오면서 천황봉쪽에서 뻗은 능선과 줄기의 기암
▼...뒤쪽에 보이는 산이 삼불봉 (776m) 희미하게 나마 세 불상의 형태를 하고 있는
것 같이 보인다 ▽ 장군봉쪽으로 뻗어 있는 능선들
|
◀...절벽과 소나무 먼 산
잘 어우러진 오늘의 포토다
여기서 시한수 소개 합니다
계룡산 산행
임종호(山火)
가을은 나뭇가지 사이로 떠나가고
지금은 사랑하는 이들의 웅성대던
소리와 그 발자국만
꿈으로 가라앉아 있다
그 길을 따라 꼬불꼬불 오르는 길
졸졸졸 흐르는 계곡을 제치며
숨찬 행진을 감행한다
숨이 차도 산 맛은 감미롭다
폐에 가득 산바람이 들어갔다가
오장육부를 맴돌아 회리바람으로
쏟아질 때 막힌 가슴이 터져서
만세를 부른다
산은 언제나 거기에 있고
여전히 똑같은 웃음으로 품을
활짝 열어 어머니처럼 나를 맞는다
언제나 나를 사로 잡는 산
계룡산을 넘는다
|
▼...삼불봉 정상
천황봉이나 동학사에서 바라보면 세 부처님의 모습을 닮았다 하는 삼불봉에 서면
자연성능을 거쳐 쌀개봉∼천황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비롯해 황적봉 능선,연천봉
능선이 마치 용이 꿈틀거리는 듯 느껴진다. 동학사계곡과 갑사계곡도 한눈에
들어와 계룡산의 전모를 볼수 있다. 사시사철 아름다움 풍광을 맛볼 수 있으나 그 중
설화가 피었을 때가 압권을 이루는 것이 계룡산 제2경 삼불봉 설화 라고 한다

▼...삼불봉을 내려 삼불고개 바로 아래 남매탑이 있다
남매탑은 오뉘탑이라고도 불리우며 계명정사 부근, 옛날 청량사 터에 위치해 있다.
멸망한 백제의 왕족과 호랑이가 업고 온 여인과의 애틋한 사랑 이야기가 전하는
탑으로 나뭇잎 사이로 스며드는 달 빛이 가슴 저미도록 아름답게 느껴진다고 하는데
그것이 바로 계룡산 제8경 남매탑 명월이라고 한다 .

 |
◀...남매탑에서 천정골로
내려오지 않고 동학사 바로
밑쪽으로 내려온다
약 5시간 넘는 산행이 힘
들었지만 초로의 지금이
게으런 젊은 시절보단
나았던지 거뜬히 해냈다
세상사 모던일이 다 같은
이치 겠지 연습하고 준비해야
지만 올바르게 해 나갈수
있는 평범한 진리를 모르고
어린시절 어른되기 위한 준비
를 게을리 하는 사람들이 많이
있다
|
|
♣...한동안 뜸했던지 학재에게 전화가 왔다 요사이는 산에 안가냐구? 올들어 학재도
꾀 산에 다녔다 이제는 4시간 정도 산행도 거뜬하다 별 부담없이 꾀 힘들다는 산행코스
를 계획해도 무리 없이 소화한다 그래서 말로만 듣던 계룡산 장군봉에서 남매탑 오르는
큰배재를 끝으로 천정골로 내려오는 코스로 가기로 한다 ♣
▼...공주가는 길에서 동학사로 갈라지는 박정자 삼거리에서 조금 올라 오면 하천 건너
편에 장군봉으로 오르는 병사골 매표소가 있다 여기가 초입이다
▼...한참 올랐나 공주가는 국도에서 동학사로 갈라지는 박정자 삼거리가 보이고
▼...장군봉 오르는 길에 기암과 장군봉에서 상신리 쪽으로 뻗어 내린 줄기
▼...장군봉 이정표 상신리쪽 경치조망

▼...장군봉 정상(500m)

▼...장군봉 정상에서 상신리쪽 조망한다 과거 사기막골이 였다고 한다 ▽ 천황봉쪽
전망 통신탑에서 우로 쌀개봉 관음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삼불봉이 보이고 황적봉에서
쌀개봉 천황봉으로 이어지는 능선
▼...절벽과 동학사 온천지구 기암 ▽동학사 온천 관광단지 조성지구
▼...절벽 암벽에 핀 철쭉
▼...저 멀리 뽀족 봉우리가 삼불봉 같은데 저기 근처까지 가야 큰배재인데 아직 갈길
이 멀다
▼...장군봉에서 신선봉까지 크고 작은 능선상의 봉우리가 대여섯개 있어 힘이 있는
분은 꾀 재미있는 곳이라 생각되고 초보 산행자는 엄청 힘이 더는 곳이라 생각된다
암벽에 줄을 타고 내리는 스릴도 맛볼수 있다
▼...멋 있는 소나무와 골짜기를 ... 멀리보여도 어느듯 선선봉이 .. 큰배재가 얼마
않남았군
▼...큰배재에서 천정골 매표소까지 꾀 길다 한 50분 정도 내려와야 한다 매표소를
지나 큰길로 나오면 동학사 주차장 덜어가는 길 과 만난다
>
▼...이로서 산행은 끝이나고 계곡의 흐르는 물이 있는 밥집으로 가서 발을 담그고
막걸리에 산채 비빔밥으로 늦은 점심을 배을 채우고 나니 행복한 하루다
한잔한 좋은 기분에 코 노래 흥얼 거리며 히히낙낙 차가 있는 초입지점으로 걸어간다
▽ 국립공원 계룡산이란 표지석이 왜 여기 있을까? 좀더 위쪽에 있는 줄 알았는데
장군봉에서 신선봉으로 이어지는 오늘 산행한 능선을 올려다 본다
|
◀...신원사에서 연천봉
관음봉 삼불봉 장군봉
병사골 까지 사람에 따라
7~ 9 시간소요 되는 종주
산행구간을 각기 다른날 이틀
에 걸처 종주를 한셈이 되였다
물론 이벤트로 해서 하루에
종주 산행을 하면 의의도
있고 산 고파하는 고급산행자
의 갈증을 풀수있는 코스다
우리 동기중에서 산 잘타는
동기들이 희망한다면 계획하고
안내하는 일을 맡을수 있고
체력이 되고 금지구간이 해제
된다면 황적봉 쪽능선으로
천왕봉을 올라 쌀개봉 관음봉
장군봉으로 원점 회귀하는 종주
약 9~10시간의 코스를 한번
하고 싶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