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월 대보름 세시 풍속
上元(상원)이라고도 하는 정월 대보름은 음력 1월 15일이다. 음력 1월 14일은
작은 보름으로도 불린다.
上元은 도교적인 명칭으로 三元 중 첫째이다. 中元은 7월 백중(음력 7월 15일).
下元은 8월 한가위(음력 8월 15일)이다. 上元은 새해 들어 처음 맞이하는
보름날로서 농사의 시작을 알리는 것으로 매우 큰 명절로 여겼다.
작은 보름날에는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고 하여 잠을 자지 않았으며,
대보름날 새벽에 찰밥을 짓는데 오곡인 찹쌀·차조·찰수수·콩·보리 등 여러 가지
곡물을 넣어 오곡밥을 짓고, 고사리·시래기·호박고지· 콩나물 등의 나물과 함께
먹는다.
이때 귀밝이술이라하여 耳明酒(이명주)를 마시며, 새벽에는 이를 튼튼하게 하고
종기를 예방한다고 하여 호두나 땅콩 등 견과류를 ‘딱’ 소리가 나게 하여 부럼을
깨서 먹는다.
오곡밥을 지으면 먹기 전에 나물과 함께 城主(성주)·竈王(조왕:부엌 신)·三神
(삼신)·龍(용)단지 등 집을 지킨다는 家神(가신)에게 먼저 올린다.
대보름날 찰밥은 많이 먹을수록 좋다고 여겨 여러 집을 돌며 오곡찰밥을
얻어먹는다. 어릴 때의 기억으로는 밤이 되면 남의 집 부엌에 들어가 몰래 찰밥을
꺼내 먹기도 하는데 이것은 대보름 풍습으로 여겨 주인은 알면서도 모른 척 하였다.
그리고 집집마다 약밥을 만들어 먹고 저녁에는 달맞이와 달집태우기를 하였다.
달집의 위치는 마을에서 달맞이하기에 가장 좋은 자리에 자리한다.
달집의 구조는 지방마다 조금씩 다르나 나무와 이엉으로 달집을 만들고 한쪽
면을 터놓아 그 터 놓은 면을 달뜨는 곳을 향하게 한다.
달이 뜨면 "보름달이 올랐다"는 소리와 함께 달집에 불을 붙이고 달을 향해 저마다의
기원을 하며 절을 한다. 달집태우기는 운이 나쁘다고 여기는 사람은 자신의 액운을
다 태워 버리고 앞으로 좋은 일만 가득하길 바라는 마음과, 집안의 잡귀와 액을 쫓기
위한 방편으로 여겨 달집태우기에 동참하여 기원한다. 그리고 月占(월점·달점)이라고
하여 보름달이 떠오르는 달의 빛깔을 보고 그해 농사의 풍작과 흉작을 점을 치는데,
달의 빛깔이 붉으면 가뭄으로 인하여 흉년. 달의 빛이 하얗게 비치면 비가 많이 내려
풍년이 든다고 하였다.
대보름 놀이로는 아이들은 햇불싸움과 쥐불놀이, 연 날리기, 돈치기 등을 즐기는데,
쥐불놀이는 깡통속에 관솔이나 솔방울로 불을 지핀 뒤 줄에 매달아 돌리면 불꽃이
원을 그리면서 밤하늘을 온통 붉게 수놓는다.
어른들은 편싸움, 줄다리기, 풍악 등을 한다. 한편으로는 이웃 마을과 집단적으로
대결하는 운동경기를 하기도 한다. 또한 풍악대를 조성하여 집집마다 돌면서
지신밟기와 풍년을 기원하는 풍악을 울린다.
또한 ‘乞粒(걸립)’이라고 하는 풍악대를 조직하여 다른 마을을 돌면서 지신을
밟아주고 얼마만큼의 곡식을 받아 마을 경비에 보태기도 한다.
보름날 새벽에 마을입구나 마을의 성소인 당산터나 고갯마루 등에 있는 마을의
수호신인 서낭당(서낭은 마을의 터를 지켜주는 神인 서낭신이 붙어 있는 나무를
가리키는 말. 서낭신은 원래 城隍(성황)에서 온 말로서 한 나라의 도성을 지켜주는
신이었으나, 후대로 내려오면서 토속신으로 변하여 마을의 수호신이 되었다고 함.
이 같은 유래 때문에 아직도 마을 어귀에 서낭신을 모셔놓은 곳을 서낭당·城隍堂
(성황당)·城隍壇(성황단)·할미당(전라남도)·천왕당(경상북도)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부르기도 함. 서낭당의 신당은 보통 돌무더기의 형태이나 때로는 나무에 헝겊조각이나
여러 가지 줄로 둘려 놓은 곳도 있다)에 제사를 지내는데, 이때 祭官(제관)은 한 해
동안 집안에 아무런 길·흉사 등의 잡일을 겪지 않은 사람으로 선정되며,
제사를 지내는 동안에는 사람이나 짐승도 모두 집안에 있어야 하고 출입이 금지되었다.
제사가 끝나야 비로소 우물에 물을 길러 보름밥을 짓는다.
정월은 설날부터 정월 대보름 명절까지 약 20여일을 명절속에 지냈든 것 같다.
| |
▼ 금탁의 여회원님들은 탁구장까지 부럼을 준비하여 왔습니다 함께 부럼을 깹니다 이(齒)가 튼튼
할려고 깨는 것인데 ... 이(齒)로 깨지 않고 손으로 다 깨는군요
|
▼ 오늘은 보름을 맞아 바람도 쐴겸하여 야외로 나갑니다 논산의 탑정호 근처의 매운탕집을 찾아
가기로 합니다 탑정호의 겨울 풍경 너른 호수가 얼음으로 꽉차 있습니다
|
▼ 탑정호 바로 옆에 자리하고 있는 이집이군요 넓직하게 터를 잡고 있어 근처 매운탕집 치고는
위치가 제일 좋은것 같군요
|
▼ 조각품도 갔다 놓고 나름 정원조성에 힘쓴것 같군요 주차가 꾀 많이 되어 있는것이 손님이 많은
모양입니다
|
▼ 새우 매운탕으로 주문 합니다 반찬은 구색만 갖춘정도 그중 배추뿌리가 입맛을 돋구어 주는군요
새우 매운탕 별식이지만 조금 비싼 편입니다
|
▼ 새우탕 좋아 하는사람은 무지 좋아 합니다 만 나는 별로 입니다 새우다리가 입을 찌르고 꺽꺽
씹히고 식감이 좋치 않아 있으면 먹지 일부러 먹으러 가지 않습니다 그러나 국물은 시원하니
괜찬군요 한그룻 뚝딱 합니다 누룽지 까지 나오니 배부르게 먹습니다
|

|
▼ 식당 주인과 상담하는 분이
춘치님 이군요
오늘 큰일 낼려 하나 ???
| |
▼ 식사가 끝이 나고 연말에 맺힌것도 있고 남.여 편을 갈라 복수전 윷놀이로 덜어 갑니다
|
▼ 윷까치도 우리가 만들어 조짜이고 좀더 재이 있게 할려고 윷판은 일반윷판에 잉태와 천국과 지옥을
만들어 노니 그 재미가 요절복통 으로 때굴때굴 구릅니다
웇놀이는 시작되고 첮판은 여자분들이 원싸이드 하게 승리를 거둡니다
|
▼ 둘째판은 여자들의 말 하나가 모에 있고 또 하나는 모개에 있어 남자들의 석동업은 말이 걸만하면
정중앙에 오게 되고 여자들이 또나 걸을 하면 남성들의 말이 잡혀 질판인데 구름이 웇가락을 던지니
여자들의 부응에 따랐음인지 걸이 나온다 이제 보현심님이 아무거나 다 좋고 개만 나오지 않으면
되는 판국인데 과연 ... 던진결과 개가 나왔군요 ㅎㅎㅎ
셋째 판도 요절복통 입니다 한동 남은 남성들의 말이 날밭에서 잡혀 패색이 짙은데앞서가던 여자분의
한동남은 말이 사리(모)가 나는것 까지 좋았는데 남은 변수 뒷또만 하지 않으면 되는데 결정적일때
뒷또가 나와 지옥에 빠집니다 오늘 여자분들 억지로 안되는 일진인 모양입니다 오늘도 남성들에게
손 들었습니다 다음을 기약하시기 바랍니다
|
▼ 맛있고 즐거운 하루 였습니다 회원님들 건강하고 행복하시길 바라며
보름의 세시풍속은 점점 사라져 가고 날씨마져 흐려 달을 보지 못하는 보름 그림이라도 보시길...
|